강의소개
강의에 대한 소개입니다.
AWS EC2 사용방법 및 실습
- 연사: 김환선 (NIMS) / 박찬 (IBS)
- 일정: 1월 17일 (월) 오후 2시 - 오후 4시
대용량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비용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컴퓨팅 인프라(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를 요구에 맞게 실시간으로 구축할 있는 서비스로서 계산천체물리 연구에 필요한 대용량 컴퓨팅 환경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AWS EC2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IaaS로서 겨울학교 및 경진대회를 위한 실습 환경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AWS EC2의 대한 개념 이해 및 실습을 위한 시간을 가질 것이다.
계산천체물리 강의 1
- 연사: 김영민 (UNIST)
- 일정: 1월 17일 (월) 오후 4시 - 오후 6시
1번 문제는 중력파 데이터 분석 관련 코드 작성 문제입니다. 이를 위한 기초 내용을 강의하고 문제에 대한 설명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계산천체물리 강의 2
- 연사: 김진호 (KASI)
- 일정: 1월 17일 (월) 오후 7시 - 오후 9시
2번 문제는 수치상대론 관련 코드 작성 문제입니다. 이를 위한 기초 내용을 강의하고 문제에 대한 설명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중력파 데이터 분석
- 연사: 이형원 (인제대학교)
- 일정: 1월 18일 (화) 오전 11시 - 오후 12시
2015년 9월 14일에 첫 번 째 중력파가 검출된 이후에 꾸준한 감도개선을 통하여 그동안 진행된 세번의 관측을 통하여 총 90개의 중력파가 검출되었다. 중력파는 그 세기가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관측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고 현재의 기술로 관측한 중력파는 기계의 잡음 보다도 그 세기가 작다. 따라서 중력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검출된 중력파 신호로 부터 중력파를 만드는 천문학적 시스템의 물리적인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강의에서는 중력파를 발생시키는 천문학적 시스템의 물리적인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모수추정(Parameter Estimation) 방법에 대한 기본 이론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중성자별의 내부 구조 및 상태방정식
- 연사: 이창환 (부산대학교)
- 일정: 1월 18일 (화) 오후 2시 - 오후 3시
중성자별은 강상호작용이 지배하는 고밀도 물질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주요 천체로서 블랙홀과 함께 매우 중요한 중력파원이다. 중력파 GW170817은 두 중성자별이 충돌하여 블랙홀이 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중력파로서, 중성자별 내부 정보를 중력파를 통하여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관측으로 전자기파와 중력파를 동시에 이용하여 천체를 관측하는 다중신호 천체물리시대가 열렸다. 이번 강의에서는 중성자별의 내부 구조 및 상태방정식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열역학 법칙, 양자 겹침 압력, 입자의 이중성 등을 살펴본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중력파 데이터 분석
- 연사: 김경민 (이화여자대학교)
- 일정: 1월 19일 (수) 오전 10시 - 오전 11시
이 강의에서는 중력파 데이터 분석과 그 데이터를 활용한 중력파 과학연구에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들이 활용되어 온 사례들을 통해 해당 연구 분야의 동향을 살펴보고, 본 연사의 연구 사례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성단 역학 및 블랙홀 쌍성의 형성
- 연사: 배영복 (IBS)
- 일정: 1월 19일 (수) 오전 11시 - 오후 12시
중력파 방출의 주요 천체인 블랙홀 쌍성이 성단 안에서 역학적인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수치 실험들(N-body, 수치상대론 등)과 이를 이용한 실제 연구 사례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우주론 수치모의실험
- 연사: 김용휘 (KIAS)
- 일정: 1월 19일 (수) 오후 2시 - 오후 3시
현대 표준 우주론은 우리 우주가 기하학적으로 평탄하며 우주 에너지 밀도 중 약 70%는 암흑 에너지, 25%는 암흑 물질, 5%는 일반 물질이라 이야기한다. 이 비율은 Ia형 초신성 관측을 통한 먼 거리 은하들의 이동 속도 측정, 우주 배경 복사의 온도 요동과 분포 측정, 중입자 음향 진동 등의 관측을 이용하여 알아내지만 각 관측의 한계로, 예측된 우주론 물리량의 범위가 다르고 관측값 간에도 오차 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가 표준 우주론의 근본을 뒤흔들지는 않지만, 관측과 이론적 예측의 차이를 좁히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많은 이론 천문학자들은 우주 극초기 밀도 요동으로부터 현 우주까지 진화해 오는 과정을 수치해석 기법을 적용한 우주론 수치모의실험을 수행하여 그 차이를 좁히고자 하였다. 이번 강의에서는 우주론 N-체 및 유체역학 수치모의실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